1995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던 학교폭력 수치는 본 디지털(Born-Digital)
세대의 저연령화 현상 및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개학에 따라
새로운 학교폭력 유형인 사이버폭력으로 진화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













별 일이 아니라고 생각해서
- 초등학교26.3%
- 중학교36.7%
- 고등학교34.8%
이야기해도 소용이 없을 것 같아서
- 초등학교21.3%
- 중학교20.2%
- 고등학교31.1%
스스로 해결하려고
선생님이나 부모님의 야단/걱정 때문에
- 초등학교17.6%
- 중학교14.9%
- 고등학교8.8%
가해자가 무서워서
- 초등학교11.1%
- 중학교6.4%
- 고등학교4.8%
어디에 도움을 요청할지 몰라서

- 사이버폭력,
얼마나 경험했나 - 학교폭력
피해 유형 - 사이버폭력
피해 유형
이렇게 사이버폭력 바이러스는 사이버정글 곳곳에 퍼져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 아프게 만들었습니다.
- 사이버
언어폭력 - 정의
사이버공간에서 누군가에게 욕설을 하거나 비난하는 메시지로 감정을 상하게 하는 행동
- 사이버
명예훼손 - 정의
여러 사람이 함께 볼 수 있는 공간에서 누군가를 비웃고 헐뜯기 위한 목적으로 사실이나 거짓을 말하여 명예를 떨어뜨리는 행동
- 개인정보
유출 - 정의
사이버공간에서 다른 사람의 개인적인 정보를 동의 없이 함부로 공개하는 행동
- 사이버
스토킹 - 정의
사이버공간에서 원하지 않는 문자, 사진, 동영상을 반복적으로 보내 상대방에게 점차 불안함과 두려움을 주는 모든 행동
- 사이버
성폭력 - 정의
사이버공간(인터넷이나 스마트폰)에서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원하지 않는 성적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글, 영상 등을 올리거나 퍼뜨리는 행동
- 사이버
따돌림 - 정의
인터넷 대화방, sns단체 등에서 상대방을 퇴장하지 못하게 막고 놀리거나 욕하거나 대화에 참여하지 못하게 하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
- 사이버
갈취 - 정의
인터넷 상에서 사이버머니, 게임 아이템, 스마트폰데이터 혹은 스마트폰 이용 대금 등을 빼앗는 행동
- 사이버
사칭 - 정의
사신을 특정인 본인처럼 보여지도록 다른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내거나 SNS 등에 게시물을 올려 잘못된 사실을 퍼트려 피해를 주는 행동
- 01불안한 기색으로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를 자주 확인하고 민감하게 반응한다.
- 02단체 채팅방에서 다수로부터 반복적으로 심리적 공격을 당한다.
- 03다른 사람이 자신의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를 만지거나 보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고 민감하게 반응한다.
- 04SNS의 상태메시지나 사진의 분위기가 갑자기 우울하거나 부정적으로 바뀐다.
- 05SNS나 문자메시지를 본 후 당황하거나 정서적으로 괴로워한다.
- 06갑자기 SNS 계정을 탈퇴하거나 아이디가 없어진다.
- 07잘 모르는 사람들이 자녀의 이야기나 소문을 알고 있다.
- 08자녀가 용돈을 많이 요구하거나 스마트폰의 사용 요금이 지나치게 많이 나온다.
- 01사이버 상에서 상대방의 거부감 드는 말과 행동에는 싫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힌다.
- 02대화 시 상대방의 무리한 요구에 응하지 않는다.
- 03사이버폭력을 당하는 것은 자신의 탓이 아니므로 자책하지 않는다.
- 04원하지 않는 메일이나 쪽지, 메신저 등에는 답변하지 말고 보복 대응하지 않는다.
- 05필요한 경우 화면 캡처, 사진 촬영 등 객관적인 증거를 철저히 확보한다.
- 06혼자서 해결하려 하지 말고 반드시 주변에 도움을 구한다.(부모님, 선생님, 전문기관 등)
- 07사이버수사대에 신고하여 사이버폭력 자료에 대해 삭제 요청을 할 수 있으니 증거를 바로 삭제하지 말고 저장해 둔다.
- 08사이버폭력은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따라 조치할 수 있다.
- 01사이버 상에서 의사소통을 할 때에는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고 타인을 험담하거나 헐뜯는 말을 하지 않도록 한다.
- 02언제, 어디서든, 누구든지 사이버폭력의 가해자, 피해자, 방관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한다.
- 03가정에서는 가족 간의 대화를 통해 인터넷 사용에 대한 규칙을 정한다.
- 04학교에서는 사이버폭력의 위험성과 사이버 상의 지켜야할 예절 등을 교육한다.
- 05사이버 상에서는 개인정보 공개를 최소화하고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한다.
- 06사이버 상에서 타인의 정보를 공유할 때는 반드시 동의를 먼저 구한다.
- 07사이버 상에서 확신할 수 없는 정보나 남에게 피해가 될 정보는 유포하지 않는다.
- 08사이버 상에서 누군가가 오프라인 만남을 요청할 경우 만나지 않고 보호자에게 알린다.
- 01
새로운 사회문제에 대한 정의,
실태조사를 통한 예측, 조사/연구를
통해 원인 파악, 해결책제시 - 02
선도와 처벌이 아닌 재미와 흥미,
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문화적
접근을 통해 내적변화 유도 - 03
사이버폭력 억제와
신속한 개입을 위한 예방 및
대응조직과 시스템 정비 필요

-
상담치유
개인,가정,학교,지역사회의 자원을 연계한 전문적 회복 지원
- #핫라인상담
- #현장출동
- #사례관리
- #치유테라피
- #화해분쟁조정
-
예방교육
처벌과 선도가 아닌 교육적 접근을 통해 아이들의 내적 변화유도
- #청소년
- #부모
- #강사
- #교사
- #온라인
- #지지크루
-
학술연구
사이버폭력 원인을 규명하여 근거중심 예방교육 실시 및 제도적 기반 구축
- #사이버폭력검사도구
- #법률제안
- #사이버폭력실태조사
- #정책제안
-
예방문화
청소년과 기성세대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사이버폭력 예방문화 발굴, 확산
- #학교장선언운동
- #대국민비폭력캠페인
- #청소년공모전
- #푸코포럼
-
플랫폼
급변하는 사이버환경에서 선제적이고 지속가능한 국내외 사이버폭력 예방 시스템 구축
- #푸코앱
- #파트너스
- #UN